본문 바로가기

일하딩32

[JAVA] 정규표현식으로 특정 패턴의 문자열 찾기 CSV 파일에서 데이터를 긁어올때 콤마(,) 단위로 split 을 한다. 주의해야할 점이 숫자 컬럼은 천단위에 콤마(,) 표시가 있어서 자칫 천단위마다 잘려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인지 숫자 컬럼은 "100,000" 이런식으로 따옴표("") 를 사용하여 하나의 컬럼인것을 표시를 해두는 것 같다. 그래서 따옴표("") 안에 있는 데이터들만 찾아서 그 안에 콤마(,) 를 제거하고 동시에 따옴표("") 도 제거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1. 따옴표("") 안에 데이터 찾기 import java.util.regex.Matcher; import java.util.regex.Pattern;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t.. 2020. 12. 21.
[Javascript] AJAX 란? 그리고 Spring 에서 ajax 사용 방법. AJAX 란?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의 약자로 XMLHttpRequest 객체를 사용해서 전체 페이지의 새로 고침없이 필요한 데이터만을 웹 서버에 요청해서 로드하는 기법이다. javascript 에서 Ajax 를 호출 하는 방법. Ajax Test Ajax Test 사용할 수 있는 속성들은 async (boolean) : 비동기 통신 Flag. 기본값은 true. 요청을 던져서 응답할 때까지 사용자 에이전트는 비동기 처리를 계속한다. false 로 설정하면 통신에 응답이 있을때까지 브라우저는 잠겨 조작이 안된다. beforeSend (function(XMLHttpRequest) : Ajax에 의해 요청이 전송되기 전에 불리는 Ajax Event. 반환값을 false 로.. 2020. 11. 19.
[JSP] JSTL, EL 이란 무엇인가? 1. JSTL JSTL 은 JSP Standard Tag Library 의 약자이며, JSP 태그를 라이브러리 형태로 모든 프로그래머가 공통으로 사용하도록 모아 놓은 것이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ko.wikipedia.org/wiki/%EC%9E%90%EB%B0%94%EC%84%9C%EB%B2%84_%ED%8E%98%EC%9D%B4%EC%A7%80_%ED%91%9C%EC%A4%80_%ED%83%9C%EA%B7%B8_%EB%9D%BC%EC%9D%B4%EB%B8%8C%EB%9F%AC%EB%A6%AC 자바서버 페이지 표준 태그 라이브러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JSTL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JSP 파일.. 2020. 11. 17.
[Java] JSON 파싱하는 방법! JSON 데이터를 사용하면서 한번씩 Java 에서 처리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Java 에서 JSON 을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org.json 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maven 을 사용한다면 pom.xml 에 org.json json 20180813 이걸 추가하면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럼 JSON 을 사용해보자. import org.json.JSONObject; public class Json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json = "{ 'A' : 'Hello Json!!'," + "'B' : '안녕하세요 제이슨'," + "'C' : 'Json Data'," + "'Boolean' : 'true'," .. 2020. 11. 12.
[Mysql] Select 시 Paging 처리 하기. Limit, Offset 사이트를 만들다보면 무조건 최소 한번은 Paging 을 처리해야하는 화면이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Back-End 에서 데이터를 모두 불러와서 원하는 부분만 잘라서 보여주거나 (거의 쓰이지 않음) DB 에서 Select 할 때 원하는 부분만 가져오는 방법이 있다. DB 에서 처리하는 방법이 가장 많이 쓰이고 바람직하다. Oracle 에서는 이걸 rownum 을 사용해서 처리하는데 이 방법은 쌓여있는 데이터가 많아지면 속도가 다소 느려진다. Mysql 에서는 Limit 과 offset 을 제공하여 훨씬 빠르게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만큼의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쿼리는 아래와 같다. SELECT * FROM dbtable WHERE status = 'Y' ORDER BY CODE LIMIT.. 2020. 11. 11.
[Mysql] Insert 대량으로 하는 방법. (mybatis 에서도) 사이트를 만들면서 Insert 를 대량으로 한번에 처리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럴 때 단순히 Insert 를 여러번 시도하면 Web 서버와 DB 서버간에 Connection 이 여러번 발생하여 둘중 한 서버가 죽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이럴때 한번에 대량으로 Insert 하는 방법이 있다. 물론 동일한 테이블에 한해서.... INSERT INTO dbtable( columna, columnb, columnc, columnd )VALUES ('valuea1', 'valueb1', 'valuec1', 'valued1'), ('valuea2', 'valueb2', 'valuec2', 'valued2'), ('valuea3', 'valueb3', 'valuec3', 'valued3'), ('valuea4'.. 2020. 11. 11.
[CSS] Position 이란? (static, relative, sticky, fixed, absolute) CSS 를 사용하면서 종종 Position 이라는 것을 사용하게 된다. Position 의 종류는 아래의 5가지이다. 1. static 2. relative 3. fixed 4. absolute 5. sticky 이제 Position 의 각각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자. 1. Static (정적) left, right, top, bottom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화면의 흐름대로, 순서대로 나열된다. -- Example -- static static2 static1 static2 2. relative (상대적) static 과는 다르게 left, right, top, bottom 등의 영향을 받는다. -- Example -- relative1 relative2 relative1 relative2 3... 2020. 7. 26.
[SAP UI5] oData Service 사용 방법 - Part. 2 (Entity 생성) 앞서 서비스와 구조를 생성하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https://mohading.tistory.com/26 [SAP UI5] oData Service 사용 방법 - Part. 1 (서비스 및 구조 생성) SAP UI5 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 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Gateway 를 통해서 oData 형태로 주고 받는 방식이다. Fiori 에서도 이 oData 를 사용하여 Standard mohading.tistory.com 이제 앞에서 생성한 서비스에 생성한 구조체를 참조하여 Entity 를 만들어보자 우선, Entity 란 Entity Types 와 Entity Set 으로 구성된다. 더욱 세밀하게까지는 해본적이 없어서 모른다. Entity Types.. 2020. 7. 20.
[SAP UI5] oData Service 사용 방법 - Part. 1 (서비스 및 구조 생성) SAP UI5 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 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Gateway 를 통해서 oData 형태로 주고 받는 방식이다. Fiori 에서도 이 oData 를 사용하여 Standard 를 구현해두었으니 이 부분을 자세하게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우선, oData Service 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1. SAP Gateway 에 서비스 생성. 2. 구조(Structure) 생성 3. 구조를 참조하여 Entity 생성 ------------------------------------ 그럼 1번부터 진행해보자. 우선, 1. SAP Gateway 에 서비스 생성 T-.. 2020. 7. 20.